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요 경영지표 분석] 은행, 저축은행 안정성 확인 지표 설명(BIS, 고정이하여신비율, ROA, LCR 등)

by 0pen3r 2022. 11. 4.
반응형

아래 포스팅을 작성하다가 일부 짤라서 포스팅합니당

https://0pen3r.tistory.com/289

 

[2022년 11월 기준] 저축은행 안정성 확인 및 저축은행 안정성 순위 체크, 주요 저축은행 경영지표

고금리 예적금 상품이 많다. 반면 일부 금융회사들의 재무리스크도 높아진 상황이다. 금융상품 가입 전 조사하는 김에 관련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포스팅 순서] 1. 저축은행 안정성 확인

0pen3r.tistory.com


[주요 경영지표1] 자본적정성 (관련 : BIS 비율, 8%이상 유지 권고/From금융감독원, 높을수록 좋음)

예상하지 못하는 손실(리스크) 대비, 자기자본을 일정 수준 이상 보유 해야함

BIS자기자본비율(이하 "BIS비율")이란 은행의 위험가중자산 대비 자기자본 비율로서, BIS비율이 낮을수록 자본이 취약한 은행입니다. 현재 금융감독당국은 BIS비율 최소 8%이상을 유지하도록 지도하고 있으며, BIS비율이 8%미만일 경우 경영개선을 위한 적기시정조치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주요 경영지표2] 자산건정성(관련 : 고정이하여신비율,  7%이상 주의, 낮을수록 좋음)

참고자료 : https://mbanote2.tistory.com/entry/고정이하-여신비율이란-무엇인가-은행의-자산건정성-지표

 

자산건정성/고정이하여신비율을 요약하면 

금융당국은 여신을 다음과 같이 5개로 분류합니다. <정상여신(정상/요주의), 부실여신(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

금융회사(저축은행)이 보유한 여신 중, 부실여신의 비중이 높을 수록 자산건정성이 좋지 않다고 표현합니다.

전체 여신 중 부실여신(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의 비율 "고정이하여신비율"이라고 합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이 높을 경우, 금융감독원이 비율에 따른 대손충당금을 적립하도록 하므로, 건정성 지표가 낮은 금융회사의 상품을 가입하고 싶을때, 대손충당금 적립률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듯합니다.

 

*여신 : 일반대중으로부터 각종 채무를 부담함으로써 획득한 자금을 규칙적, 조직적으로 대출하는 것을 말함

은행의 대출채권 등은 건전성이 높은 순서대로 정상·요주의·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이란 연체기간이 3개월 이상인 고정이하여신 합계액(고정+ 회수의문+추정손실)이 여신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율로 고정이하여신비율이 높을수록 부실자산이 많은 은행입니다.

[주요 경영지표3] 수익성(관련 : 총자산순이익률(ROA), 높을수록 좋음)

금융회사의 수익성이 어떤지 확인하는 지표입니다.

수익성이 높을 수록 회사가 잘 운영되고 있고, 미래에도 존재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ROA : 당기순이익을 총자산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하여, 기업의 일정기간 동안 창출한 순이익에 해당하는 당기순이익이 전체 자산 대비 어떠한지 알려주는 비율

총자산순이익률(ROA)은 은행의 총자산에 대한 당기순이익의 비율로써 은행이 자산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수익을 창출했는가를 나타내며, 동 비율이 지속적으로 양(+)이고 높을수록 수익성이 좋은 은행입니다.

[주요 경영지표4] 유동성(관련 :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 100%이상을 권장 ,높을수록 좋음)

금융회사의 안좋은 상황(부실채권이 터지거나, 재무적 리스크가 발생하거나 뱅크런이 진행되거나 등)에서

외부의 지원 없이 자체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고유동성자산을 보유한지에 대한 지표입니다.

쉽게 풀어보면 위기가 와도 지급할 수 있는 고유동성자산(현금 등)이 얼마나 있는지라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LCR(Liquidity coverage ratio) : 금융기관에 대한 규제 중 하나. 유동성 위기에 대비해 준비해야하는 현금화하기 쉬운 자산(현금, 예수금, 국공채)의 최소의무보유비율, 한달 기준의 고유동성자산을 순현금유출액로 나누어 산출

유동성커버리지비율(LCR)이란 극심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향후 30일간 의 순현금유출액에 대한 고유동성자산의 보유비율로써, 100% 를 기준으로 동 비율이 낮을수록 유동성이 부족한 은행입니다.

*‘30일’의 의미는 현금유출입 시기가 불확실한 심각한 유동성 위기상황에 직면하여 은행이 적절한 조치를 취하고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기간


 

-끝-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