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20

#판다스(pandas)란?! [pandas란] 데이터 조작 및 분석을 위해 Python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입니다. 특히 숫자 테이블과 시계열을 조작하기위한 데이터 구조와 연산을 제공(출처: 위키백과) panel datas의 약어 2021. 6. 28.
#EXCEL 엑셀 랜덤 난수 입력 방법(RAND(), RANDBETWEEN()) 엑셀에 랜덤값을 넣어야 하는 상황일 때(주로 테스트 용도) RAND()함수와 RANDBETWEEN() 함수를 사용하곤한다. 둘의 차이 및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 =RAND() 함수 : 0이상 1미만 난수 출력 =RANDBETWEEN(value1, value2) 함수 : value1 ~ value2 사이의 값 중 난수 출력 이하 생략.. 2021. 6. 28.
개발도구(IDLE) 추천 및 vscode 설치, 한글 설정 기억을 떠올려보면 처음 개발도구를 접한건 2014~15년인거 같다. 그당시 사용했던 도구는 devc++, 비주얼스튜디오였고 현재는 colab, 주피터, sublimetext, vscode, vim, 이클립스 등 정도가 되겠다. (넓은 의미의 개발도구~) 무튼 프로그래밍 입문자에게 추천은 VSCODE다. (이유 : 편리함, 가독성 좋고, 연동 잘되고, 관리 잘되고, 문서도 많음 등) 갠적으로 라이트한 코드작성으로는 colab이나 sublimetext도 좋은듯. 요약~ vscode는 마소(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만들었고, 사용하기 다방면으로 좋다. [설치 및 한글 설정 방법] 1. 홈페이지 접속(https://code.visualstudio.com/) 2. 다운로드 및 설치 3. 한글 패치 -끝- 2021. 6. 27.
Windows 가상머신 만들기(VMware), Windows VMware Tools 설치 제곧내 다년간 써보면서 느낀점은 Typical로 설정하고 램/CPU 할당을 더 많이 해주는게 좋더라. 맥시멈 디스크는 60gb이지만 Split virtual disk into multiple files 옵션을 주므로 PC의 60GB를 바로 할당하는게 아니다. 유동적으로 사용하되 최대 60GB라는 뜻. 이후 하드디스크 추가가 가능함 요즘은.. 우분투를 쓰던 윈10을 쓰던 메모리 4기가는 줘야한다. 프로세서도 2개 할당시켜줘야되고 New CD/DVD 부분을 클릭해서 설치하려는 ISO 파일 경로를 찍어주자 끝 (PS.) Windows VMware Tools 설치 방법 고로. 설치해준다. (VMware 하단에 노란색으로 알림뜬다 - 설치해라(영어로)) 그러면 예스 누르고 VM 내에서 D드라이브 클릭 후 설치한다.. 2021. 6. 26.
[윈도우 속도 느림 해결] Microsoft Compatibility Telemetry 비활성화, CPU 100 해결하기, 윈도우 느릴때, 컴퓨터 초반에 느릴때 해결 요약: Microsoft Compatibility Telemetry 활성화되어있으면, 컴퓨터 느려짐 고로 비활성화 필요 (이 글을 최초로 쓴 뒤로 한 10번정도 사례가 발생해서 분노한 마음을 담아 이 문서를 업데이트 한다. 2022-10-24) 최근 빈번하게 컴퓨터를 킬때마다 컴터가 엄청 느려지는 것을 느낀다. 왜 느려지는지 보기위해 작업 관리자(Ctrl, Shift, Esc 동시 누르기)를 확인하니 Microsoft Compatibility Telemetry 프로세스가 CPU를 100% 점유하고 있었다. VMware에 윈도우를 설치했을 때 초반에 안움직이거나, 저성능 PC에서 초반에 버벅이는 원인은 Microsoft Compatibility Telemetry 이놈 이거나, Window Defender .. 2021. 6. 15.
서버보안점검, [U-05] root홈, 패스 디렉터리 권한 및 패스 설정 케이스 기반 로깅 점검시 일반적으로 root계정으로 "echo $path" 입력하여 path 환경변수를 확인함 $echo $path .:/usr/local/bin:/bin:/usr/sbin 위는 예시를 보면 $path 값이 ".:/usr/local/bin:/bin:/usr/sbin"로 설정됨을 볼 수 있음 path 파일의 구조를 보면 "경로1 : 경로2 : 경로3" 순으로 주소를 인식함. 따라서 해당 예시의 경로는 1. '.' 2. /usr/local/bin 3. /bin 4. /usr/sbin 순으로 root가 인식한다고 보면 됨. 여기서 발생할 수 있는 취약 사항은 '.'가 먼저 인식되므로, 악의적인 사용자가 ls, pwd 등의 파일을 특정 경로에 생성하고 이를 모르는 타사용자(root)가 ls, p.. 2021. 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