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20

[CISA] 2022/2023 CISA 시험접수하기, 스케쥴 등록, 언어 설정 *주소 : https://www.isaca.org/myisaca/certifications 1> 위 주소 접속 후, 로그인을 한다. 2> 우측 상단 MYISASA 클릭 > 아래로 스크롤 내려서, 아래 그림따라 클릭 해준다. 3> 테스트 센터 고르고, 언어 설정한다. 4> 주소를 입력해서 시험 센터를 조회하고, 접수 가능한 일정을 찾아본다. 5> 시험을 보면된다. 참고자료 isaca korea chapter 홈페이지에서 퍼옴 ( 2019.05.22 자료) https://isaca.or.kr/info/c1.asp?bidx=3268&bgbn=R -끝- 2022. 11. 7.
아스키코드와 유니코드 비교, UTF-8, 한글 유니코드 표기(EUC-KR, CP949, 유니코드) 내용을 요약합니다. ASCii와 유니코드는 문자(언어/숫자/특수문자 등)를 컴퓨터상에서 표시하는 방법이다 1. 아스키는1963년, 유니코드는 1991년 제작되었고, 일부만 호환된다. 2. UTF-8은 유니코드의 종류이다. 3. 한글은 EUC-KR, CP949 표를 사용했지만 현재 유니코드를 주로 사용한다. ASCII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미국 정보 교환 표준 부호) 아스키 코드는 1963년 미국 ANSI에서 표준화한 정보교환용 7비트 부호체계이다. 인쇄전신기(Teleprinter)를 통한 전신(통신)에서 사용되기 시작했고, 8비트 컴퓨터에서도 활용되어 오늘날 문자 인코딩의 근간을 이루게 된다 https://0pen3r.tistory.. 2022. 11. 4.
[아스키표] 가독성 좋은 아스키 코드표(ASCii code) ASCII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미국 정보 교환 표준 부호) 아스키 코드는 1963년 미국 ANSI에서 표준화한 정보교환용 7비트 부호체계이다. 인쇄전신기(Teleprinter)[2]를 통한 전신(통신)에서 사용되기 시작했고, 8비트 컴퓨터에서도 활용되어 오늘날 문자 인코딩의 근간을 이루게 된다.000(0x00)부터 127(0x7F)까지 총 128개의 부호가 사용된다. 1바이트를 구성하는 8비트 중에서 7비트만 쓰도록 제정된 이유는, 나머지 1비트를 통신 에러 검출을 위한 용도로 비워두었기 때문이다. Parity Bit라고 해서, 7개의 비트 중 1의 개수가 홀수면 1, 짝수면 0으로 하는 식의 패리티 비트를 붙여서, 전송 도중 신.. 2022. 11. 4.
[주요 경영지표 분석] 은행, 저축은행 안정성 확인 지표 설명(BIS, 고정이하여신비율, ROA, LCR 등) 아래 포스팅을 작성하다가 일부 짤라서 포스팅합니당 https://0pen3r.tistory.com/289 [2022년 11월 기준] 저축은행 안정성 확인 및 저축은행 안정성 순위 체크, 주요 저축은행 경영지표 고금리 예적금 상품이 많다. 반면 일부 금융회사들의 재무리스크도 높아진 상황이다. 금융상품 가입 전 조사하는 김에 관련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포스팅 순서] 1. 저축은행 안정성 확인 0pen3r.tistory.com [주요 경영지표1] 자본적정성 (관련 : BIS 비율, 8%이상 유지 권고/From금융감독원, 높을수록 좋음) 예상하지 못하는 손실(리스크) 대비, 자기자본을 일정 수준 이상 보유 해야함 BIS자기자본비율(이하 "BIS비율")이란 은행의 위험가중자산 대비 자기자본 비율로서, BI.. 2022. 11. 4.
2023 저축은행 안정성 확인 방법 및 저축은행 부실 순위 체크, 저축은행 경영지표 분석(수익성, 자본적정성, 자산건전성, 유동성) 방법 고금리 예적금 상품이 많다. 반면 일부 금융회사들의 재무리스크도 높아진 상황이다. 금융상품 가입 전 조사하는 김에 관련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포스팅 순서] 1. 저축은행 안정성 확인 방법, 관련 지표 소개 2. 주요 저축은행 순위, 안정성 체크 3. 현존하는 리스크 및 뉴스 기사, 사견 1. 저축은행 안정성 확인 방법, 관련 지표 소개 저축은행의 안정성을 보기 위해서는, 재무지표를 봐야한다. 일반적으로 금융회사의 안정성을 체크하기 위한 지표는 (1)자본적절성, (2)자산건전성, (3)수익성, (4)유동성 이다. 4가지 지표가 전부 양호할수록 안정성이 높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당연히 4가지 지표가 양호하다해도 아무런 리스크가 없다는 건 아니라는 점을 인지하도록 하자. (ex. 정책 리스크, 국제.. 2022. 11. 4.
[예금자보호법 정리] 1금융, 2금융 예금자 보호 정리 (신협 예금자보호, 새마을금고 예금자보호, 저축은행 예금자보호, 예금자보호 안되는 케이스) “예금자보호제도”는 금융회사가 영업정지나 파산 등으로 예금 등을 지급할 수 없는 경우 예금보험공사가 금융회사를 대신하여 예금 등을 지급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예금자보호법」 제1조 및 예금보험공사 홈페이지(https://www.kdic.or.kr)-예금자보호제도 참조). 요즘 금리높은 상품이 많다. 근데 한편으로는 원금 보전이 되는지에 대한 의심이 드는것도 사실이다. 그래서 정리해봤다. 0. 예금자보호법 범위와 대상 정리 1. 예금보험공사에서 보호하는 금융기관들 - 은행, 보험회사, 투자매매/중개업자, 종합금융회사, 상호저축은행 등의 예금자보호 2. 예금보험공사를 통하지 않고 보호하는 금융기관들 - 신용협동조합(신협)의 예금자보호 - 지역(단위)농협의 예금자보호 - 축협의 예금자보호 - 지역산림조합의 예.. 2022. 10. 28.